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실행 창(시작버튼 -> 실행, 혹은 키보드의 윈도우키+R) -> regedit<enter>
키를 찾는 방법 일반 디렉토리 경로 찾듯이 레지스트리 편집기의 왼쪽 트리 뷰에서 찾아가면 됩니다. 예를 들어 ' HKEY_CLASSES_ROOT\CLSID\20D04FE0-3AEA-1069-A2D8-08002B30309D'를 찾는다면 HKEY_CLASSES_ROOT -> CLSID -> 20D04FE0-3AEA-1069-A2D8-08002B30309D의 순서로 찾아가면 됩니다. 더 간단하게는 F3이나 ctrl+F를 누르시고 '20D04FE0-3AEA-1069-A2D8-08002B30309D'만 검색하시면 바로 찾아집니다. 키에 따라서는 같은 이름이 여기저기 있을 수 있으니 찾은 뒤에 원하는 키가 맞는지 경로를 한 번 확인해보세요.
아래 자료는 카테고리별로 공통 경로가 맨 위에 쓰여있고 각 항목별로 키 이름이 쓰여있습니다. '공통경로'+'항목별 키' 이렇게 붙여서 사용하시면 됩니다.
주의!! 레지스트리는 함부로 건들면 Windows를 일순간에 바보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. 레지스트리 편집기의 백업 기능을 사용해서 백업 파일을 만들어두시거나 키를 편집하거나 삭제 하실 때 확실히 복구가 가능하다고 자신하시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삭제하거나 덮어쓰지 마시고 키의 이름을 바꿔서 백업 키를 만들어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. e.g. 'defaulticon'이라는 키를 수정하신다면 현재 키의 이름을 'defaulticon_org'로 바꿔주시고, 'defaulticon'을 새로 생성해 주세요.
키 데이터 값의 타입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보면 '종류'라는 칼럼이 있고 REG_SZ나 REG_DWORD라는 것들이 쓰여있습니다. '데이터' 칼럼에 들어갈 값의 타입을 알려주는 겁니다. 보시면 아시겠지만 REG_SZ는 문자열입니다. 수정하는 데 어려울 거 없는 종류고.. REG_EXPAND_SZ라는 것도 있습니다. 이건 보면 특정 파일로부터 아이콘이나 스트링을 로드하게 돼있습니다. 예를 들어 '%SystemRoot%\System32\shell32.dll,31' 이런 값이 들어있다면
%SystemRoot% 윈도우에 정의 돼 있는 환경변수입니다. 어디서 고치거나 할 수 있는지 아시는 분은 아실거고.. (자바 해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요. ClassesRoot인가 설정해야하니까요. ^^) 보통 값은 윈도우가 설치된 디렉토리 (C:\Windows)로 돼 있습니다. 확인해보고 싶은 분들은 커맨드 창에서 'echo %systemroot%'라고 쳐보세요.
System32\shell32.dll,31 System32 디렉토리 안에 있는 shell32.dll이라는 파일에서 데이터를 잡아옵니다. 그 안에 아이콘이나 스트링이 줄을 서 있을텐데 그 중에 31번째를 가져오라는 의미입니다. 주의하실 점은.. 인덱스는 0부터 시작입니다. 이 예에서처럼 인덱스가 31이라면 서른두 번째 데이터가 됩니다.
아래의 키들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. ('\'로 시작하는 이름은 하위키, 그렇지 않은 것은 현재 키의 속성값입니다.)
(기본값) -> 아이콘 이름
InfoTip -> 마우스를 아이콘 위에 대고 기다리면 뜨는 간단한 정보
\DefaultIcon -> 아이콘 모양
'IntroText'나 'LocalizedString'도 바꿔볼만 할텐데 지금 실험해서 무슨 속성인지 알아내기는 귀찮군요. ^^;;; '\shellex'같은 건 건드리지 않으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. 얼핏 보기에 하위 키 값이 클래스 아이디인 것으로 봐서 이거 값 바꾸면 해당 아이콘을 클릭 했을 때 이상하게 동작할 거 같습니다.
HKEY_CLASSES_ROOT\CLSID\
내 컴퓨터 20D04FE0-3AEA-1069-A2D8-08002B30309D
네트워크 환경 208D2C60-3AEA-1069-A2D7-08002B30309D
제어판 21EC2020-3AEA-1069-A2DD-08002B30309D
프린터 2227A280-3AEA-1069-A2DE-08002B30309D
휴지통 (아이콘이 세 개 있습니다. 기본(default), 비어있는 상태(empty), 차 있는 상태(full)) 645FF040-5081-101B-9F08-00AA002F954E
다운로드 디렉토리 Download Directory 뭐 다운로드 할 때마다 마지막 지정했던 경로로 바뀌는 값이라 여기서 수정한다는 것이 특별한 의미가 없기는 합니다. ^^;;;
각종 기본 정보 \Main 여기엔 상당히 여러가지 속성들이 포함 돼 있습니다. 그냥 IE 설정을 통해서 바꿀 수 있는 속성들도 꽤 있는 것 같구요, 특별히 유용한 것이 있는지 자세히 찾아보진 않았습니다만 일단 적어둡니다.
Context Menu Extention \MenuExt IE 안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했을 때 나오는 메뉴를 편집할 수 있습니다. 기본적인 항목들은 여기 없지만 프로그램 설치를 통해서 추가된 메뉴들이 여기 있습니다. 예를 들어 'PDF로 변환', 'Excel로 내보내기' 같은 항목들입니다. 새로 추가를 하려면 연구가 좀 필요하겠지만 삭제는 쉽겠지요. (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백업은 해두시기 바랍니다. 혹시 잘못 될지도 모르니까요. ^^)
Popup 허용 리스트 \New Windows\Allow 역시 IE 설정을 통해 바꿀 수 있는 값입니다. 혹시라도 나중에 필요한 일이 있을까해서 적어뒀습니다.
IE 주소창에 나오는 주소리스트 \TypedURLs 주소창 오른쪽의 드롭다운 버튼을 누르면 쭉 나오는 방문했던 주소 목록이 들어있습니다. IE 설정 창에서 이 목록을 싹 날려버릴 수도 있긴 합니다만 여기서는 하나씩만 지울 수 있습니다. 회사나 집에서 특정 사이트를 방문했던 흔적을 지우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. 뭐 IE의 히스토리 쪽도 처리를 해줘야 완벽하겠지만 그 쪽은 일부러 봐야 알 수 있는 거고, 이 주소 목록은 비슷한 주소를 타이핑 할 때 자동 완성으로 생각지도 않게 노출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흔적을 지운다는 의미가 더 크지요. ^^
차단된 ActiveX publisher list \UntrustedPublishers ActiveX 설치하겠냐고 물을 때 'xxx의 프로그램은 절대 설치 안해'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xxx가 여기에 추가되고 설치하겠냐고 다시 묻지 않습니다. 특별히 다른데서 이 목록을 관리하는 기능을 본 적이 없는 거 같아서 적어둡니다.